모멘텀: 혼란 속 반등을 읽는 열쇠
오늘 코스닥 시장은 전날 급락 이후 혼란스러운 분위기 속에서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개인의 대량매도가 있었던 전날과는 다르게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가 두드러졌습니다. 이와 같은 시장 상황에서는 단순한 가격 변동을 넘어, 추세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지표의 활용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주제인 모멘텀(Momentum)은 이런 시장 흐름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모멘텀이란 무엇인가?
모멘텀은 주가나 지표가 특정 방향으로 얼마나 강력하게 움직이는지를 측정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이는 물리학에서의 운동량과 유사하게, 시장의 가격 변화 속도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 계산 방식:
기본적으로 모멘텀은 특정 기간 동안의 가격 변화율을 계산하여, 현재 가격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냅니다.
Momentum=Current Price−Price N days ago
- 주요 특징:
- 모멘텀이 양수(+)이면 상승 추세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반대로, 음수(-)이면 하락 추세가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값이 점차 감소하거나 증가세가 둔화되면, 추세 전환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차트에서 모멘텀을 활용하는 방법
- 추세 강도의 판단:
모멘텀 지표가 높게 나타난다면 현재 추세(상승 또는 하락)가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상승 추세에서 모멘텀이 꾸준히 증가하면 매수세가 꾸준히 강하다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기다려봐도 되겠죠 - 추세 전환의 징후 포착:
- 다이버전스(Divergence): 가격은 상승하지만 모멘텀이 하락할 경우, 상승세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곧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예고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모멘텀이 상승할 경우 하락세가 약화되며 상승 전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주의: 본문은 투자를 조장하기 위한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차트 공부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선물, 레버리지란? (1) | 2024.12.12 |
---|---|
#11. 어센딩 트라이앵글이란? (2) | 2024.12.11 |
#9. MACD란? (1) | 2024.12.09 |
#8. Envelope란? (2) | 2024.12.08 |
#7. 환율이란? (6)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