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3. 선물, 레버리지란?

nomadtrender 2024. 12. 12. 21:48

크리스마스와 선물의 연관성

벌써 연말 분위기가 다가오는 요즘 크리스마스에 다들 어떤 선물을 받게 될지 기대하고 계신지요. 크리스마스 시즌은 단순한 축제를 넘어, 선물이라는 개념이 중심에 있는 특별한 시기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선물'과 금융 시장에서 사용되는 '선물(Futures)'의 의미는 조금 다릅니다. 오늘은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선물에 대해 알아보고, 제가 좋아하는 역사와 매번 꼭 알아보는 활용, 그리고 관련된 위험성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선물(Futures)의 역사

선물 거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개념이라고 합니다. 당시 농부들과 상인들이 농작물의 미래 가격을 정해 거래하며 리스크를 줄이려는 목적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현대적인 선물 시장은 19세기 미국 시카고에서 시작되다고 하는데요. 농산물의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1848년에 설립된 시카고상품거래소는 최초의 공식적인 선물 계약을 도입하였습니다. 이후 선물은 농산물뿐만 아니라 원유, 금, 주식 지수, 심지어 암호화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산으로 확장되었습니다. 그 목적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 동시에 투자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미래의 가치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선물 지표가 현물 가격의 추세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선물과 레버리지란 무엇인가

선물은 기본적으로 특정 자산을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입니다. 이러한 거래는 투자자에게 높은 유동성과 잠재적 수익을 제공합니다. 특히 레버리지(Leverage)는 선물 거래에서 같이 사용하였을 때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1,000의 자본을 가지고 10배 레버리지를 활용한다면, $10,000 규모의 선물 계약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적은 자본으로 큰 수익을 얻을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손실도 레버리지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


선물과 레버리지의 위험성

선물 거래의 매력적인 점은 높은 수익률이지만, 그만큼 큰 위험도 동반합니다. 레버리지를 사용할 경우, 작은 가격 변동에도 투자 자산 전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1. 가격 변동의 위험
    선물은 미래 가격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거래되므로, 시장의 갑작스러운 변동성으로 인해 전혀 예상치 못한 변동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추가 증거금 요구
    레버리지를 사용한 선물 거래에서는 시장 가격이 불리하게 움직일 경우 추가 증거금(Margin Call)을 요구받게 됩니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거래가 강제 청산될 수 있습니다.

결론

선물 거래는 가격 변동성을 관리하고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레버리지와 관련된 높은 위험성을 반드시 이해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크리스마스의 선물처럼 선물 거래도 기쁨과 위험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학습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자산이나 거래를 권장하는 것이 아님을 명시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M2 지수란?  (1) 2024.12.16
#14.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1) 2024.12.15
#11. 어센딩 트라이앵글이란?  (2) 2024.12.11
#10. Momentum이란?  (0) 2024.12.10
#9. MACD란?  (1)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