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15. M2 지수란?

nomadtrender 2024. 12. 16. 22:29

 

유동성의 흐름: M2 지수

요즘 경제 뉴스에서는 금리 인하와 물가 안정 같은 주제가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곧 BOJ와 FOMC의 금리 방향 발표가 얼마남지 않았는데요, 경제 정책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를 때마다 자주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M2 지수입니다. M2는 한 국가의 경제에서 돈이 얼마나 유동적인지, 그리고 사람들이 얼마나 현금을 쥐고 있는지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M2 지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투자와 경제 분석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M2 지수란 무엇인가?

M2 지수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통화 공급량을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시장 내의 경제 유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데요, M2 지수에 포함되는 자산으로는 현금, 요구불 예금, 정기 예금, 저축성 예금 등 상대적으로 현금보다 유동성이 낮은 금융 자산도 포함됩니다.

재밌는 사실은 M1과 M2가 다른데요, M1은 현금 + 요구불 예금, M2는 M1 + 저축성 예금과 같은 유동성 자산입니다.

예를들면 M2는 기업과 가계가 금융기관에 맡겨둔 자산의 양을 보여줍니다. M2 지수가 크다는 것은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렸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겠죠, 시장에 유동성이 커지면 자산의 변동성이 커지고 투자와 소비를 자극해 경제를 활성화 할 가능성이 높겠죠. 참고로 현재 M2 지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 iNVESTING.COM


M2 지수의 변동이 주는 경제적 의미

M2는 경제의 현재 상태통화 정책의 방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경기 활성화 상태
    M2가 증가하면 유동성이 풍부해져 가계와 기업이 소비와 투자를 늘릴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금리를 낮추면 대출이 증가하고, 시장에 돈이 더 많이 풀려 M2가 상승합니다. 현재 흐름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 위험
    그러나 M2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돈이 시장에 너무 많아지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과거 질병사건 당시에는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무제한 공급을 진행한적도 있죠.
  3. 경기 둔화와 긴축 정책
    반대로, 금리 인상이나 통화 긴축 정책은 대출과 소비를 줄이며 M2를 감소시킵니다. 이는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지만,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장 가까운 과거에 실행된 정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투자에서 M2 지수를 활용하는 방법

M2 지수가 최근 5년 사이 최고점을 달성하였습니다. FOMC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우리의 자산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간단히 말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인플레이션 방어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자산을 단순히 현금으로 보유하는 것보다는 시장에 맡겨두는 전략을 통해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주제로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주의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정보 제공 및 개인 학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3) 2024.12.22
#14. 피보나치 되돌림이란?  (1) 2024.12.15
#13. 선물, 레버리지란?  (1) 2024.12.12
#11. 어센딩 트라이앵글이란?  (2) 2024.12.11
#10. Momentum이란?  (0)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