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앞으로의 대비 전 기본을 튼튼히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25%에서 3%로 인하하며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있습니다. 이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신호를 위한 노력이라고 보여지는데요, 투자자들은 이제 금리 변화가 가져올 영향을 고민하며 자신의 전략을 재정비해야 하는 순간에 놓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조금 걱정이 되는 부분이 크지만 큰 흐름은 거스르려하면 큰 화를 당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분위기에 따른 금리의 추세
금리는 쉽게말하면 이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움직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가장 최근의 사건으로 예를 들면 코로나 펜데믹 시기 정부에서는 많은 돈을 시장에 풀어 경기를 부양하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엔데믹 이후 너무많이 풀린돈이 인플레이션을 야기시키자 이를 막기위해 금리를 인상하여 은행으로 돈이 들어오게 유도하였고 이로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한 사례가 가장 대표젹이죠. 처음에 말했던 것 처럼 금리는 이자이기 때문에 이런 인과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것 입니다.
금리는 또한 돈의 가치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미국의 금리가 5%, 한국의 금리가 3%라면 세계의 돈은 금리가 높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는 달러 원 환율을 낮추는 결과를 야기하게 됩니다. 원화가 싸지면 수출이 활성화 되지만 반대로 수입재를 많이 쓰는 기업의 경우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겠죠 이처럼 금리는 환율에도 큰 영향을 끼칩니다.
금리를 기준으로 투자 수익률 목표 설정하기
금리 변화는 투자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현재 기준금리 3%를 활용해 현실적인 수익 목표를 설정해봅시다.
- 시중 은행의 적금 금리
- 기준금리가 3%일 경우, 대부분의 은행 적금 금리는 3.5~4% 수준입니다.
- 따라서 투자자라면 최소 4% 이상의 수익률을 목표로 해야 적금을 대체할 만한 투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금리와 물가를 함께 고려
- 물가상승률(예: 2%)과 기준금리를 비교하며, 투자 수익률 목표는 금리 + 물가 상승률 이상의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예를 들어, 현재 물가상승률이 2%라면, 최소 5% 이상의 수익률이 필요합니다. 최소한 물가 상승률만큼의 수익도 못낸다면 돈의 가치가 증발했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주의: 본문은 투자를 조장하기 위한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차트 공부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VIX지수란? (2) | 2024.12.03 |
---|---|
#5. Bollinger Band란? (1) | 2024.12.02 |
#3. 매물대란? (2) | 2024.11.27 |
#2. 주가이동평균선 이란? (0) | 2024.11.26 |
#1. RIS 지표란? (2)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