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6. VIX지수란?

nomadtrender 2024. 12. 3. 22:38

 

 

VIX 지수: 변동성의 기준

오늘 코스피 지수가 1.8포인트 상승하며 2,500선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코스피 1순위 삼성전자는 전혀 상승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반도체 시장에 닥친 찬바람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이렇게 우울한 국내 증시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는 VIX지수 13으로 평온한 상태입니다. 악재라고 할 만할 요소가 없기 때문이죠.

 


VIX 지수의 이론적 배경

VIX 지수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개발한 S&P 500 지수 옵션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계산 방식: 근 30일간의 수치를 모두 합해서 평균을 낸 후, 각각의 날짜의 S&P 500 수치에서 평균을 뺀 값을 제곱하여 모두 더하여 분산을 구한 뒤, 제곱근을 구합니다. 즉, VIX는 표준 편차와 유사합니다.
  • 의미:
    • 20 이하: 시장 안정, 
    • 20~30: 시장 변동성 증가.
    • 30 이상: 높은 공포 수준, 극단적 불확실성.

역사적으로 VIX 지수는 금융 위기나 주요 경제 이벤트 발생 시 급격히 상승하며, 시장의 불안을 반영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COVID19 당시 VIX 지수는 80을 초과한 적도 있습니다.

 


VIX 지수를 투자에 활용하는 법

  1. 위험 회피 전략:
    VIX 지수가 상승하면 시장 변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분산하거나 방어주에 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2. 공포를 기회로 활용:
    VIX 지수가 극단적으로 높아지면 오히려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장기적 매수 기회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 VIX 지수가 30 이상일 때, 저평가된 주식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주의: 본문은 투자를 조장하기 위한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차트 공부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Envelope란?  (2) 2024.12.08
#7. 환율이란?  (6) 2024.12.04
#5. Bollinger Band란?  (1) 2024.12.02
#4. 금리란?  (0) 2024.11.28
#3. 매물대란?  (2)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