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선물 : 산타랠리
안녕하세요, 주말 푹 쉬고 다시 돌아온 블루라군입니다. 최근 증시는 쉬어가는 흐름을 보였는데요, 12월에는 주목해야 할 흐름이 이습니다. 바로 전통적인 상승장 산타랠리입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S&P 500을 기준으로 가장 수익률이 높은 달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당연히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서 자산을 분배하셔야 하겠지만 이점 참고하시면 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Bollinger Band: 주가 변동성을 읽는 도구
Bollinger Band는 시장 변동성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한 이 지표는 주가의 평균과 변동성을 결합하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도구입니다.
보통 차트를 보시면 BB상한선, BB하한선, 중심선으로 구분되어 차트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텐데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심선: MA = (∑Pᵢ) / n
상단선: Upper = MA + 2σ
하단선: Lower = MA - 2σ
여기서,
- Pᵢ: i번째 종가
- n: 기간 (일수)
- σ: n일 동안의 표준편차
이 수식만 보면 잘 이해가 안가실텐데요, 활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축과 확장: 밴드 간격이 좁아지면 변동성이 낮고, 넓어지면 변동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당연히 시그마(표준편차)가 커지면 상한선과 하한선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겠죠.
2. 주가가 상한선을 돌파하면 과매수 상태로 볼 수 있고, 하한선을 이탈하면 과매도 상태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상기 설명을 잘 읽다보면 기존에 작성했던 RSI지수와 매우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다른 점은 각 도구의 목적입니다.
Bollinger Band는 주가의 변동성을 시각화하는것이 목적이고 RSI는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특징 | Bollinger Band | RSI |
핵심 목적 | 변동성 파악 및 가격 범위 예측 | 과매수/과매도 상태 파악 |
표시 형태 | 차트 위의 밴드 | 0~100 범위의 선 |
적용 요소 | 가격의 평균 및 표준편차 | 상승폭과 하락폭의 상대적 비율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의: 본문은 투자를 조장하기 위한 글이 아니며, 개인적인 차트 공부를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환율이란? (6) | 2024.12.04 |
---|---|
#6. VIX지수란? (2) | 2024.12.03 |
#4. 금리란? (0) | 2024.11.28 |
#3. 매물대란? (2) | 2024.11.27 |
#2. 주가이동평균선 이란? (0) | 2024.11.26 |